Wisetracker Docs
웹사이트블로그콘솔 바로가기도입 문의이용 문의
👣 사용자 가이드
👣 사용자 가이드
  • 🛸시작하기 전에 !
    • 와이즈트래커
    • 가이드 이용 안내
    • 자주 묻는 질문 🙋🏻‍♀️
      • 회원가입
      • 어트리뷰션 링크
      • 대시보드 이용
      • 데이터
      • 오디언스
      • 카카오톡, 문자메시지
      • 앱 푸시
        • 이미지/알림 수신되지 않음 CASE
      • 개발 지원
  • 🐣와이즈트래커 시작하기
    • 회원가입 및 서비스 등록
    • 광고 성과 분석하기
      • 분석 SDK 설치
      • 매체 연동 및 활성화
      • 트래킹 링크 생성
      • 어트리뷰션 데이터 분석
    • 고객 행동 데이터 분석하기
      • 분석 SDK 설치
      • 고객 행동/속성 이벤트 연동
      • 애널리틱스 데이터 분석
      • 애널리틱스 데이터 활용
    • CRM 메시지 발송하기
      • 발신번호 등록
      • 카카오톡 채널 연동
      • 메시지 포인트 충전
      • 메시지 발송
      • 080 수신거부 번호 등록
      • 마케팅 저니 실행하기
  • 👣광고 성과 트래킹의 모든 것
    • 미디어 파트너(매체) 관리
      • 활성화 및 커스텀 채널 생성
      • 기본 설정
      • 어트리뷰션 설정 (룩백윈도우)
      • 포스트백 설정
      • 주요 미디어 파트너 설정
        • Google Ads (앱 캠페인)
        • Meta
        • Apple Search Ads
        • Naver 성과형 디스플레이 광고
        • Naver 검색광고
        • Kakao
        • Criteo
        • DV360
    • 트래킹 링크 생성하기
      • 어트리뷰션 링크 생성하기
      • 커스텀 도메인으로 브랜딩하기
    • 어트리뷰션 설정
      • iOS 14 업데이트 대응 가이드
      • 광고 에이전시 관리
  • 📊데이터 잘 활용하기
    • 서비스 핵심 성과 지표 정의
    • Attribution
      • 어트리뷰션 오버뷰
      • UA 캠페인
      • 리타게팅 캠페인
      • 리텐션
    • Analytics
      • 애널리틱스 오버뷰
      • 유저플로우
      • 전환퍼널
      • 구매자 티어
      • 디스트리뷰션
    • 커스텀 대시보드
      • 사전 정의된 대시보드 (Pre-Defined Dashboard)
        • 방문행동
        • 마케팅
        • 컨텐츠/상품
        • 유저
        • 커머스
        • 디바이스
      • 커스텀 대시보드 만들기
    • 데이터 다운로드
      • RAW 타입
      • 통계 타입
      • [legacy] 데이터 다운로드
      • 데이터 다운로드 지표 정의
    • 데이터 검증
      • 이벤트 발생 현황
  • 🧙‍♂️CRM 메시지 발송하기
    • 광고 메시지 유의사항
    • 카카오톡, 문자메시지
      • 메시지 발송 시 공통 안내사항
      • 알림톡 발송하기
      • 친구톡 발송하기
      • 문자메시지 발송하기
    • 앱 푸시
      • 앱 푸시 발송하기
      • 앱 푸시 성과 대시보드
    • 마케팅 저니 실행하기
  • 👥오디언스 생성하기
    • 오디언스 활용방법 알아보기
    • 오디언스 생성
      • 추천 오디언스 템플릿 이용하기
      • 직접 오디언스 생성하기
    • 오디언스 목록/상세/히스토리
    • 유저 관리
      • 분석서비스와의 연동
      • 유저 리스트
        • 데이터 업로드
        • 속성 필터 적용 및 그룹 생성
        • 데이터 다운로드
        • 유저 상세 화면
      • SMS 수신거부 리스트
  • ⚙️설정
    • 어플리케이션 설정
    • 메시지 설정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 🏃🏻‍♂️ 애널리틱스 시작하기
  • 🔎 애널리틱스 들여다보기
  • 애널리틱스란?
  • 고객 행동 데이터는 어떻게 수집되나요?
  • 애널리틱스 200% 활용하기
  • 데이터 분석 쉽게 시작하기

Was this helpful?

  1. 와이즈트래커 시작하기

고객 행동 데이터 분석하기

앱/웹사이트 내 고객의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온보딩 가이드에요 ! 📊

Previous어트리뷰션 데이터 분석Next분석 SDK 설치

Last updated 1 month ago

Was this helpful?

🏃🏻‍♂️ 애널리틱스 시작하기


🔎 애널리틱스 들여다보기

애널리틱스란?

앱/웹사이트 내 고객의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말해요. 애널리틱스가 선택이 아닌 필수인 이유! 아래 내용을 꼭 살펴보세요.

① 고객 행동 패턴 분석

고객의 특성, 행동 패턴, 구매 경향 등을 파악해요. 이를 통해 고객의 필요와 선호도, 시장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주요 타겟으로 삼아야할 잠재 고객의 특성도 예측해볼 수 있어요.

② 사용자 경험 및 서비스 UI/UX 개선

유저가 어디서 많이 이탈하는지 파악하면, 전환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사용자 경험을 점검하고 해당 페이지나 버튼 등의 UI/UX 를 개선해볼 수 있어요.

③ 효과적인 CRM 마케팅

고객의 행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고객의 긍정적인 브랜드 경험은 쌓이고, 전환율은 높일 수 있어요. 고객의 관심을 끌만한 콘텐츠(메시지)가 적절한 타이밍에 전달되어야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올 수 있어요.

④ 어트리뷰션 성과 최적화

어트리뷰션을 통해 고객의 유입 경로를 추적했다면, 유입 고객의 전환 이벤트 설정을 통해 보다 정확한 어트리뷰션 성과를 분석하고 광고 성과를 최적화시킬 수 있어요.

고객 행동 데이터는 어떻게 수집되나요?

데이터 분석을 위한 분석 도구 SDK 를 통해 수집되며, 수집된 데이터는 대시보드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분석 대상이 되는 앱/웹사이트에 와이즈트래커 SDK 가 필수로 설치되어야 하며, 분석하고자 하는 유저 행동 데이터 수집을 위해 특정 시점에 해당 이벤트가 호출될 수 있도록 인앱 이벤트 API 를 적용해야 합니다.

> 분석 SDK 설치 > 고객 행동/속성 이벤트 연동

애널리틱스 200% 활용하기

고객의 행동 흐름을 시각화한 유저플로우 전환율을 빠르게 분석하고 전환/이탈 오디언스를 추출하는 전환퍼널 구매 금액을 기준으로 고객 세그먼트를 분류한 구매자 티어 발생 이벤트 사이의 소요 시간/체류시간 등에 대한 전반적인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트리뷰션 우리 서비스의 분석 데이터들만 모아서 조합할 수 있는 커스텀 대시보드 등

수집한 애널리틱스 데이터를 분석하고 인사이트를 얻어 광고 성과, 서비스 개선, 고객 관리, 매출 등의 성과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대시보드를 제공하고 있어요.

> 애널리틱스 데이터 분석

애널리틱스가 빠진 CRM 마케팅은 불가능해요. 수집한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객의 행동에 실시간으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고객으로부터 원하는 액션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적합한 타겟을 생성하고 고객의 여정에 따라 마케팅 저니를 설계해보는 건 어떨까요?

> 애널리틱스 데이터 활용

데이터 분석 쉽게 시작하기

고객의 어떤 행동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해야할지 모르겠다면, 임플리멘테이션 컨설팅 서비스 도입을 고려해보세요.

✓ 인터뷰지 작성 및 분석 요건 파악 ✓ 필요한 데이터 항목에 대한 이벤트 택소노미 도출 ✓ 개발 언어에 맞춘 SDK 태깅 가이드 제공 ✓ 데이터 크로스 검증 ✓ 맞춤 커스텀 대시보드 생성 및 서비스 활용 교육 지원

데이터 분석 세팅 전 과정을 와이즈트래커가 도와드립니다.

📧 mkt@wisetracker.co.kr |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편하게 말씀해주세요.

🐣
> 더 알아보기

4️⃣

1️⃣ 와이즈트래커 SDK 설치
2️⃣ 인앱 이벤트 설정
3️⃣ 고객 행동 데이터 분석
고객 행동 데이터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