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setracker Docs
웹사이트블로그콘솔 바로가기도입 문의이용 문의
👣 사용자 가이드
👣 사용자 가이드
  • 🛸시작하기 전에 !
    • 와이즈트래커
    • 가이드 이용 안내
    • 자주 묻는 질문 🙋🏻‍♀️
      • 회원가입
      • 어트리뷰션 링크
      • 대시보드 이용
      • 데이터
      • 오디언스
      • 카카오톡, 문자메시지
      • 앱 푸시
        • 이미지/알림 수신되지 않음 CASE
      • 개발 지원
  • 🐣와이즈트래커 시작하기
    • 회원가입 및 서비스 등록
    • 광고 성과 분석하기
      • 분석 SDK 설치
      • 매체 연동 및 활성화
      • 트래킹 링크 생성
      • 어트리뷰션 데이터 분석
    • 고객 행동 데이터 분석하기
      • 분석 SDK 설치
      • 고객 행동/속성 이벤트 연동
      • 애널리틱스 데이터 분석
      • 애널리틱스 데이터 활용
    • CRM 메시지 발송하기
      • 발신번호 등록
      • 카카오톡 채널 연동
      • 메시지 포인트 충전
      • 메시지 발송
      • 080 수신거부 번호 등록
      • 마케팅 저니 실행하기
  • 👣광고 성과 트래킹의 모든 것
    • 미디어 파트너(매체) 관리
      • 활성화 및 커스텀 채널 생성
      • 기본 설정
      • 어트리뷰션 설정 (룩백윈도우)
      • 포스트백 설정
      • 주요 미디어 파트너 설정
        • Google Ads (앱 캠페인)
        • Meta
        • Apple Search Ads
        • Naver 성과형 디스플레이 광고
        • Naver 검색광고
        • Kakao
        • Criteo
        • DV360
    • 트래킹 링크 생성하기
      • 어트리뷰션 링크 생성하기
      • 커스텀 도메인으로 브랜딩하기
    • 어트리뷰션 설정
      • iOS 14 업데이트 대응 가이드
      • 광고 에이전시 관리
  • 📊데이터 잘 활용하기
    • 서비스 핵심 성과 지표 정의
    • Attribution
      • 어트리뷰션 오버뷰
      • UA 캠페인
      • 리타게팅 캠페인
      • 리텐션
    • Analytics
      • 애널리틱스 오버뷰
      • 유저플로우
      • 전환퍼널
      • 구매자 티어
      • 디스트리뷰션
    • 커스텀 대시보드
      • 사전 정의된 대시보드 (Pre-Defined Dashboard)
        • 방문행동
        • 마케팅
        • 컨텐츠/상품
        • 유저
        • 커머스
        • 디바이스
      • 커스텀 대시보드 만들기
    • 데이터 다운로드
      • RAW 타입
      • 통계 타입
      • [legacy] 데이터 다운로드
      • 데이터 다운로드 지표 정의
    • 데이터 검증
      • 이벤트 발생 현황
  • 🧙‍♂️CRM 메시지 발송하기
    • 광고 메시지 유의사항
    • 카카오톡, 문자메시지
      • 메시지 발송 시 공통 안내사항
      • 알림톡 발송하기
      • 친구톡 발송하기
      • 문자메시지 발송하기
    • 앱 푸시
      • 앱 푸시 발송하기
      • 앱 푸시 성과 대시보드
    • 마케팅 저니 실행하기
  • 👥오디언스 생성하기
    • 오디언스 활용방법 알아보기
    • 오디언스 생성
      • 추천 오디언스 템플릿 이용하기
      • 직접 오디언스 생성하기
    • 오디언스 목록/상세/히스토리
    • 유저 관리
      • 분석서비스와의 연동
      • 유저 리스트
        • 데이터 업로드
        • 속성 필터 적용 및 그룹 생성
        • 데이터 다운로드
        • 유저 상세 화면
      • SMS 수신거부 리스트
  • ⚙️설정
    • 어플리케이션 설정
    • 메시지 설정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 전제조건
  • 얻을 수 있는 데이터
  • 대시보드 옵션
  • 1️⃣ 차원(Dimension) 선택
  • 2️⃣ 이벤트 선택
  • 3️⃣ 매출액 합계
  • 4️⃣ 선택 박스
  • 5️⃣ 트렌드 차트 전환
  • 데이터 해석

Was this helpful?

  1. 데이터 잘 활용하기
  2. Attribution

리텐션

유저가 앱을 다시 실행하거나 사이트에 다시 방문하는 재사용 & 앱이나 사이트를 재사용하는 유저로 남아있는 잔존율을 측정하는 지표인 리텐션을 보여주는 대시보드입니다.

Previous리타게팅 캠페인NextAnalytics

Last updated 2 months ago

Was this helpful?

전제조건

  • 이벤트 발생일로부터 최대 30일간의 리텐션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 리텐션은 Rolling Retention 방식으로 측정합니다. 이 방식은 특히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의 리텐션을 측정하는데 적합합니다.

⚠️ Classic Retention과 Rolling Retention은 어떻게 다른가요?

조건 : 9월 1일에 앱이 100건의 회원가입이 있었고, 이틀 뒤인 9월 3일의 리텐션이 50%라고 대시보드에 표시되는 경우

  • Classic Retention - 리텐션이 50%로 측정된 이유는 9월 1일에 회원으로 가입한 100명의 유저 중 50명이 정확히 9월 3일에 앱을 실행 하였기 때문입니다.

  • Rolling Retention - 리텐션이 50%로 측정된 이유는 9월 1일에 회원으로 가입한 100명의 유저 중 9월 3일 또는 그 이후에 50명의 유저가 앱을 실행 하였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어떤 유저가 회원가입 이후 앱을 전혀 사용하지 않다가 9월 5일에 앱을 실행했다면, 해당 유저는 9월 3일에도 앱을 사용한 것으로 간주하여 리텐션에 포함됩니다.

얻을 수 있는 데이터

  • 인스톨 이후의 리텐션과 누적 매출액

  • 유저가 특정 이벤트를 수행한 이후의 리텐션과 누적 매출액

  • 특정 매체 또는 캠페인으로 집계된 이후의 리텐션과 누적 매출액

대시보드 옵션

가장 기본적인 리텐션인 인스톨 리텐션외에도 다양한 조건으로 리텐션을 조회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대시보드를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옵션을 적절하게 다룰 수 있어야 합니다. 사용할 수 있는 옵션들을 아래 그림에 표시해 놓았으며 이에 대한 설명도 참고해 주세요.

1️⃣ 차원(Dimension) 선택

차원(Dimension)이란 데이터를 보여주는 기준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차원이 이벤트 발생일이라면 날짜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표시하며, 차원이 미디어 파트너라면 매체 이름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표시합니다.

기본 차원은 이벤트 발생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드롭박스 메뉴를 클릭하면 선택 가능한 차원이 나타나며 개별 차원에 대한 설명은 표로 정리해 놓았습니다.

명칭

설명

이벤트 발생일

날짜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어제 인스톨한 유저와 오늘 인스톨한 유저의 리텐션을 알고 싶을 경우 이벤트 발생일을 선택하면 됩니다.

미디어 파트너

매체를 기준으로 코호트를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Google 을 통해 구매한 유저와 Naver 를 통해 구매한 유저의 리텐션을 알고 싶을 경우 미디어 파트너를 선택하면 됩니다.

캠페인

캠페인명을 기준으로 코호트를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april_promo_creative_a 캠페인과 april_promo_creative_b 캠페인의 리텐션을 알고 싶을 경우 캠페인을 선택하면 됩니다.

2️⃣ 이벤트 선택

여기에서 선택된 이벤트를 수행한 유저들의 리텐션을 측정하게 되며 기본값으로 모든 인스톨이 선택되어 있습니다. 만약 모든 인스톨을 선택한다면 구매를 완료한 유저들의 구매 이후의 리텐션 데이터를 볼 수 있게 됩니다.

차원과 이벤트를 모두 선택했다면 이것은 리텐션 측정 대상이 되는 코호트(cohort)의 조건을 지정한 것입니다.

⚠️ 코호트(Cohort)란 무엇인가요?

코호트란 동질적인 특성을 공유하는 하나의 집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차원에서 이벤트 발생일을 선택하고 이벤트에서 모든 앱설치를 선택하면 2020년 9월 1일에 앱을 설치한 유저들이 첫번재 코호트로 묶이고 그 다음날 앱을 설치한 유저들이 두번째 코호트로 묶입니다. 그리고 차트와 테이블에는 이 두 코호트의 데이터가 구분된 형태로 표시됩니다.

3️⃣ 매출액 합계

특정 코호트에 포함된 유저들이 30일 간 만들어낸 전체 매출액을 표시합니다. 이 수치는 해당 코호트의 30일 LTV를 연산하는 기초자료가 됩니다.

4️⃣ 선택 박스

특정 코호트의 리텐션 또는 누적 LTV 트렌트를 상단 라인 차트에 표시하려면 선택 박스로 체크하면 됩니다.

5️⃣ 트렌드 차트 전환

라인 차트에 표시할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리텐션 트렌트가 기본 노출되며, 탭을 전환하여 누적 LTV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해석

아래 그림에 박스 표시한 부분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 대시보드를 확인해주세요.

  • Organic으로 앱을 Install한 유저 342명의 데이터입니다.

  • 해당 유저들 중에 Install 날짜로부터 1일이 경과(Day 1)한 후 앱을 재사용한 유저는 88 명이며 재사용율은 26% 입니다.

  • 해당 유저들 중에 Install 날짜로부터 2일이 경과(Day 2)한 후 앱을 재사용한 유저는 75 명이며 재사용율은 22%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