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자 티어
구매자 티어 대시보드는 구매 유저로부터 발생한 수익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습니다. 매출액을 기준으로 구매 유저를 5가지 등급으로 나누고 각 등급에 얼마나 많은 유저가 속하는지 그리고 수익성은 어느 정도인지를 표시합니다.
- 매출액(revenue)이란 조회 기간동안 발생한 매출액을 의미합니다.
- 구매 유저(paying user)란 조회 기간동안 위에서 설명한 매출액을 발생시킨 유저를 의미합니다.
- 결과적으로 조회 기간 외에 발생한 매출액에 대해서는 대시보드에 표시하지 않습니다.
- 평균적인 구매 유저의 숫자와 ARPPU
- 전체 구매 유저 중 평균 이상의 수익성을 보이는 유저의 숫자와 ARPPU
티어는 특정한 매출액 구간에 속하는 구매 유저들의 집합입니다. 티어를 분류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티어 | 설명 |
Tier 1 | 조회 기간 내에 구매한 유저 중 매출액 기준 상위 1% |
Tier 2 | 조회 기간 내에 구매한 유저 중 매출액 기준 상위 2% - 10% |
Tier 3 | 조회 기간 내에 구매한 유저 중 매출액 기준 상위 11% - 25% |
Tier 4 | 조회 기간 내에 구매한 유저 중 매출액 기준 상위 26% - 50% |
Tier 5 | 조회 기간 내에 구매한 유저 중 매출액 기준 상위 51% - 100% |
대시보드 상단에는 KPI 수치를 표시합니다. 조회 기간 내에 포함된 전체 구매 유저의 데이터와 1티에 포함된 구매 유저의 데이터를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 개별 데이터에 대한 설명은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KPI | 설명 |
구매자 | 조회 기간 내에 구매한 전체 유저들의 숫자 |
매출 | 조회 기간 내에 구매한 전체 유저들이 조회 기간 내에 발생시킨 매출액 |
ARPPU | 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의 약어로, 전체 구매 유저의 매출액을 전체 구매 유저의 숫자로 나눈 값. (Revenue/Paying User = ARPPU) |
1티어 구매자 | 전체 구매자 중 매출액 기준 상위 1%에 속하는 유저들의 숫자 |
1티어 매출 | 1티어 구매자가 조회 기간 내에 발생시킨 매출액 |
1티어 ARPPU | 1티어 구매에 속한 유저의 ARPPU |

차트의 좌측에는 각 티어의 전체 매출액이, 그리고 우측에는 각 티어에 속한 구매 유저 숫자가 표시됩니다. 이 차트가 비교 차트인 이유는 차트의 좌측과 우측에 있는 수치를 종합적으로 비교하면서 데이터를 해석하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앱의 버티컬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예를 들어 어떠한 경우에도 전체 구매 유저의 50%는 5티어에 속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5티어의 매출액 막대가 다른 티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다면, 거의 대부분의 유저가 평균 이하의 수익성을 보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5티어의 매출액 막대가 상대적으로 짧지만 2티어부터 4티의 매출액 막대가 충분히 길다면 안정적인 구매 유저층을 보유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단에 있는 표는 조회 기간의 데이터를 보다 상세하게 제시합니다. 개별 티어의 ARPPU, 그리고 해당 티어가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표의 마지막 열에 있는 오디언스 다운로드 를 활용하면 특정 티어에 포함된 유저의 ADID와 IDFA를 파일로 다운로드 하여 타겟 마케팅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Last modified 5mo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