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행동
앱 방문행동과 관련된 여러 지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앱에서 발생한 세션(방문), 페이지뷰
- 첫 방문, 반복방문, 재방문 횟수
- 유니크 유저수
- 평균 세션시간(체류시간)
- 반송률
상단 KPI 카드를 통해서는 조회 기간동안 유저가 앱을 사용하면서 발생한 트래픽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KPI | 설명 | 비고 |
세션 | 조회 기간 내에 발생한 세션 숫자 | 세션과 방문은 동일 개념 |
신규 세션 | 앱 설치 후 처음으로 앱을 실행하여 생긴 세션 숫자 | |
반복방문 세션 | 앱에 반복적으로 방문하여 발생한 세션 숫자 | 가장 최근 세션과 그 이전 세션의 발생 간격이 14일 이내인 경우, 가장 최근의 세션을 '반복방문(repeated visit)'으로 간주 |
재방문 세션 | 앱에 오래간만에 방문하여 발생한 세션 숫자 | 가장 최근 세션과 그 이전 세션의 발생 간격이 14일을 초과한 경우, 가장 최근 의 세션을 '재방문(returning visit)'으로 간주 |
유니크 유저 | 조회 기간 동안 서비스(앱 또는 웹사이트)를 사용한 유저수에서 중복을 제거한 수치 | 앱은 고유 식별자(ADID와 IDFA) 개수를, 웹사이트는 쿠키 고유 ID 개수를 사용하여 중복제거 |
페이지뷰 | 조회 기간 내에 발생한 페이지뷰 | |
평균 세션 시간 | 조회 기간 내에 발생한 세션들의 평균 길이 | |
이탈율 | 조회 기간 내에 앱에서 이탈한 반송률 | 앱을 실행한 다음 별다른 행동 없이 앱을 종료한 경우를 '반송'으로 간주하며, 따라서 조회 기간 내에 발생한 전체 세션 중 반송이 발생한 세션의 비율이 반송률이 됨 |
이 차트는 앱의 주요 트래픽인 세션 수, 페이지뷰, 그리고 평균 체류시간을 혼합하여 표시합니다.

- 파란색 막대는 세션 숫자, 초록색 막대는 페이지뷰입니다.
- 라인 그래프는 평균 체류시간을 의미합니다.
- 막대의 높이를 비교해 봄으로써 세션과 페이지뷰의 규모를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 장기간의 추세를 그려보면 특정 날짜 또는 요일별 트래픽 패턴을 관찰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조회 기간 내에 발생한 모든 인앱 이벤트를 정리하여 표로 제공합니다. 따라서 어떤 이벤트가 몇 회나 발생했는지를 분명하고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와이즈트래커 기본 이벤트(이벤트명이
w_
로 시작함)가 아닌 경우 유니크 유저수가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 Avg. Action Per User는 말 그대로 '유저' 당 이벤트 수행 횟수를 말합니다. 유저는 단말기 식별자를 기준으로 구분합니다. 고유한 ADID 또는 IDFA가 하나의 유저인 셈입니다.
- 구매 이벤트인 경우, 수익 column에 매출액 데이터가 나옵니다.
Last modified 1yr ago